감정과 행동을 표현하는 단어

evasive: 얼버무리는, 회피하는

WordWanderings 2025. 5. 6. 06:00
반응형

 🕵️‍♂️ ‘Evasive’의 뜻과 활용법: 뭔가 피하는 듯한 말투나 태도를 말할 때

‘Evasive’는 기본적으로 “회피하는”, “핑계를 대는”, “솔직하지 않은”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누군가가 직접적인 답을 피하거나 진실을 말하지 않고 돌려 말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형용사예요.

‘Evasive’는 특히 질문에 대한 정직하지 않은 반응이나,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를 지적할 때 자주 쓰이는 단어입니다.

그럼 ‘Evasive’가 실제로 어떤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는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 곤란한 질문을 회피할 때

(Avoiding Direct Questions)

‘Evasive’는 누군가 질문을 받았지만 직접 대답하지 않고 말을 돌릴 때 사용됩니다.

 

The politician gave an evasive answer when asked about the scandal.

(그 정치인은 스캔들에 대한 질문에 회피하는 대답을 했다.)

 

Whenever I ask him about his plans, he gets really evasive.

(계획에 대해 물어볼 때마다 그는 정말 회피적인 태도를 보여.)

 

이처럼 솔직하게 답하지 않고 얼버무릴 때 딱 적절한 표현이에요.

 

 🚨 책임을 피하려는 태도를 표현할 때

(Dodging Responsibility or Blame)

‘Evasive’는 잘못이나 책임을 회피하려는 행동이나 말투를 지적할 때도 쓰여요.

 

He sounded evasive when confronted about the mistake.

(그는 그 실수에 대해 추궁받자 얼버무리듯 말했다.)

 

Stop being evasive and tell me what really happened.

(자꾸 말을 돌리지 말고 무슨 일이 있었는지 제대로 말해.)

 

어떤 상황에서든 직접 마주하기보다는 도망치는 느낌일 때 ‘evasiv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명확한 답을 피하면서 애매하게 말할 때

(Being Vague or Indirect)

‘Evasive’는 명확하지 않고 두루뭉술한 표현을 할 때도 유용합니다.

 

Her response was vague and evasive, which made us suspicious.

(그녀의 답변은 모호하고 회피적이어서 우리를 의심하게 만들었다.)

 

His evasive tone suggested he was hiding something.

(그의 얼버무리는 말투가 뭔가 숨기고 있다는 인상을 줬다.)

 

이처럼 사람의 말투나 태도가 솔직하지 못할 때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단어예요.

 

 💢 감정적으로 거리두기를 할 때

(Avoiding Emotional Engagement)

‘Evasive’는 사람 사이에서 감정적으로 거리두기를 하거나 솔직한 감정을 회피할 때도 쓰여요.

 

He became evasive when I asked about his feelings.

(내가 그의 감정에 대해 물어보자 그는 회피적인 태도를 보였다.)

 

She’s always evasive when it comes to talking about her past.

(그녀는 과거 이야기가 나오면 항상 회피하려고 한다.)

 

감정적인 솔직함을 피하고 싶을 때 드러나는 그런 회피적인 태도를 잘 표현해 줍니다.

 

 ⚠️ 주의점 (Things to Keep in Mind)

✅ ‘Evasive’는 말이나 행동이 직접적이지 않고 피하려는 성향을 담고 있어요.

특히 정직하지 못하거나 뭔가 숨기려는 느낌을 줄 때 자주 씁니다.

 

✅ 대체 표현으로는

"vague" (모호한),

"indirect" (간접적인),

"elusive" (파악하기 어려운),

"noncommittal" (입장을 밝히지 않는)

등이 있어요.

 

✅ 비슷한 표현과 비교:

 She gave a vague answer.

(그녀는 모호한 대답을 했다.) → 정보 부족 느낌

 He was noncommittal about the issue.

(그는 그 문제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 중립적 태도

 Her tone was evasive and defensive.

(그녀의 말투는 회피적이고 방어적이었다.) → 숨기거나 피하려는 의도

반응형

 📌 예시 문장을 함께 살펴볼까요?

 

1. The witness became evasive during cross-examination.

(그 증인은 반대 심문 중에 회피적인 태도를 보였다.)

 

2. He gave evasive answers to avoid admitting his fault.

(그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려고 회피적인 대답을 했다.)

 

3. Stop being so evasive—just tell me the truth!

(그렇게 회피적으로 굴지 말고 진실을 말해!)

 

4. She grew evasive when asked about her ex-boyfriend.

(그녀는 전 남자친구에 대해 질문을 받자 회피적으로 변했다.)

 

5. His evasive response made everyone suspicious.

(그의 회피적인 대답은 모두를 의심하게 만들었다.)

 

6. I don’t like people who are evasive in conversations.

(나는 대화에서 회피적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아.)

 

7. The manager’s evasive reply didn’t satisfy the employees.

(매니저의 회피적인 대답은 직원들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8. Politicians often use evasive language to avoid giving clear answers.

(정치인들은 종종 명확한 답변을 피하려고 회피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9. Every time I bring up the subject, he gets evasive.

(내가 그 주제를 꺼낼 때마다 그는 회피하려고 해.)

 

10. Her evasive smile told me she wasn’t being honest.

(그녀의 회피적인 미소는 진실하지 않다는 걸 말해줬다.)

 

💡 오늘 배운 ‘Evasive’를 활용해 문장을 직접 만들어 보세요!

이 표현을 익혀두면 대화 속 미묘한 뉘앙스를 훨씬 더 잘 표현할 수 있을 거예요. ✨

 

반응형